개요
Git 저장소를 사용하다 보면 파일을 옮기게 되는 일들이 많이 있다.
우리가 평소에 파일을 옮긴다고 하면 그냥 드래그 & 드롭을 하거나 잘라내기 후 붙여내기를 하면 되겠지만,
Git 저장소의 파일에 그렇게 하면 문제가 생긴다.
탐색기에서 git repositioty(저장소)에 해당하는 파일을 수동으로 바로 옮기면
위의 사진처럼 파일이 삭제되고 새로운 파일이 생성된 것 처럼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해당 파일에 남아 있던 커밋 로그가 같이 지워짐으로,
나중에 수정 내역을 보려고 할 경우 볼 수 없게 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git mv 커맨드를 이용하자
git mv커맨드는 git 레포에 해당되는 폴더나 파일을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커맨드이다.
git bash 창을 활성화 시켜서 커맨드를 입력하면 된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처럼 하면 된다.
git mv [<옵션>] <변경대상> <변경위치>
만약 git repo가 C:\workspace\work1
에 있고,
변경할 파일이 C:\workspace\work1\파일_1.txt
이며,파일들
폴더를 만들어서 파일_1.txt
를 이동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하면 된다.
cd C:\workspace\work1
mkdir 파일들
git mv C:/workspace/work1/파일_1.txt C:/workspace/work1/파일들/파일_1.txt
cd 의 경우 해당 파일로 이동하라는 의미이고, mkdir은 폴더를 생성하는 커맨드이다.
이동할 때 추가 옵션들도 있는데, 그건 공식 문서를 참고하자
https://git-scm.com/docs/git-mv
'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중인 폴더를 git hub desktop으로 Git에 올리는 법 (0) | 2020.09.18 |
---|